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태극기 건곤감리 뜻, 그리는 법 알아보자

by 사무노이 2023. 2. 23.
반응형

대한민국 국기인 태극기는 순백의 바탕에, 정 가운데 태극 무늬를 두고 양 대각선 모서리에 건곤감리가 새겨져있습니다.1800년대에 국기 만드는 법, 그리는 법을 제정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는데요. 1948년 8월 15일 독립 및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 그리는 법을 법적으로 확정하고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 게양

태극기 뜻

예로부터 대한민국 사람을 백의민족이라 불렀을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과 흰색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죠. 태극기 바탕에 있는 흰색은 밝음, 순수, 평화 등을 상징하는 색입니다. 태극 문양의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동양적인 사상이 반영되어있는데 붉은색은 태양, 불, 열정, 낮을 의미하고 푸른색은  달, 물, 침착, 밤을 의미합니다. 어느쪽이든 꼭 필요하다는 것!

 

또한 붉은색이 위에 위치하고, 왼쪽부터 그려나가야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건곤감리 뜻

건(乾) : 하늘 3

곤(坤) : 땅 6

감(坎) : 물 5

리(離) : 불 4

 

건곤감리는 사람을 둘러싼 하늘, 땅, 물, 불을 의미하는 한편 각 괘마다 획의 숫자가 달라 그리는 법에 애먹는 분이 많이 있는데요. 역 N자 모양으로 그리면 잊지 않고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상좌측(3) -> 하좌측(4) -> 상우측(5) -> 하우측(6) 순서로 외우시면 됩니다.

 


태극기는 국경일, 주요 기념일이 아니어도 매일 달아도 예의에 어긋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정해진 국경일, 기념일등에 게양할 수 있습니다. 삼일절, 현충일,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등이 그 예시이며 경축일 및 평일에는 대문(베란다)의 왼쪽 혹은 중앙에 게양대 가장 높은 곳에 달면 됩니다. 다만 현충일이나 국가장 기간 등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태극기 세로 폭 만큼 한 칸 아래에 게양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