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2023년 저소득 청년 정책 모아보기

by 사무노이 2023. 1. 9.
반응형

어려운 경기로 인해 저소득 청년들의 어려움이 가중 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개천용'이 어렵다는 시대인만큼 열심히 일하는 청년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여 꿈을 이루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해 안내드리고자합니다.

 

① 청년도약계좌

2023년 6월 출시 예정인 정책으로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을 대신하는 개념입니다. 월 최대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5천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금리가 명확히 정해지는 바는 없지만, 작년 시행한 청년희망적금이 은행별로 5~6% 상당의 금리가 책정된 것으로 보아 그와 비슷하거나 더 오른 수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 소득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만 가입가능하며 연 소득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지원할 것이라고 하는데요. 연소득 2400만원 이하일 경우 월 40만원으로 최대치입니다.

 

청년정책
다양한 청년정책을 누리세요

 

얼마전 청년희망적금의 파기율이 10%가 넘어간다는 뉴스 기사를 읽어보았는데요. 청년도약계좌 또한 어느정도의 실효성을 지니고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② 청년월세지원

저소득 청년에게 최대 20만원씩, 최대 12개월 동안 월세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은 만 19세 ~ 만 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소득이 중위소득의 60%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이하인 청년을 의미합니다. 원가구란 란 청년 본인과 부와 모(직계혈족)을 의미합니다. 다만 유주택자이거나 부모,형제의 주택을 임차하는 경우,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에 거주하거나 한 방에 다수가 거주하는 전대차인 경우에는 제외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8월까지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③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걷거나 자전거등을 이용하는 거리 등을 마일리지로 환산하여 지급합니다. 기존에는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하였는데 현재는 서울 등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되어 우영되고 있습니다.

 

청년층의 경우 1회 교통 요금지출액이 2천원 미만인 경우 월 최대 1만 5천 400원의 마일리지가 적립되어 통장으로 환급받을 수 있고, 저소득층의 경우 월 2만 2천원을 할인 적립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상반기 중 서울의 교통비가 큰 폭으로 상승이 예고되어있어 출퇴근 및 통학하는 청년들의 부담이 매우 클텐데요. 이러한 제도를 잘 활용하여 아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경제정책-저축
힘든 시기 함께 이겨나가요

 

이밖에 각 지자체에서는 저소득층 청년을 위한 기부 행사나 일자리 정책 확대, 다양한 요금 감면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조건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 지자체 홈페이지나 SNS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고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 대학생 및 청년 저이자 대출 포스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