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24절기 뜻, 겨울에는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by 사무노이 2022. 11. 22.
반응형

24절기 뜻은 태양의 위치와 움직임에 따라 계절적으로 24개의 구분을 지은 것을 의미합니다. 절기(節氣)자체는 계절이 있는 어느나라에서나 통용되는 개념이지만, 24개의 개수와 그 명칭 등 발상의 기초는 중국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시헌력의 기준에 따라 24절기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경 처음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조상들은 농사 및 각종 제례와 행사 등에 활용하였다고 전해집니다.


24절기뜻-겨울의절기
24절기 중 6개가 겨울절기이다.

겨울의 여섯가지 절기 알아보기

11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존재하는 6개의 절기는 입동, 소설, 대설, 종지, 소한, 대한 입니다. 각 날짜의 특징과 알아두어야 할 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입동(入冬)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19번째 절기입니다. 보통 11월 7일~8일 정도가 이시기에 해당하는데요. 10월에는 사람에 따라 반팔을 입고 다니는 경우도 있지만, 이쯤에는 본격적인 겨울에 해당하기 때문에 긴팔과 겉옷을 입고다녀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입동을 기준으로 일주일 이내에 수학능력시험이 있기 때문에 계절적으로도 상당히 겨울에 가깝습니다. 과거에는 간혹 진눈깨비같은 눈이 날리는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런 경우를 보지 못하였고, 대부분 20번째 절기인 소설즈음에 첫눈이 시작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소설(小雪)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소설은 음력 10월 하순에 해당합니다. 양력으로는 11월 22~23일 정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기에 김장김치를 담는 풍습이 있어 각종 마트에서도 대대적인 배추와 양념 행사를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때는 코트보다는 패딩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추위를 많이 타는 분이라면 미리 준비를 해두어야합니다.

 

3. 대설(大雪)

양력으로 12월 7일~8일 즈음이 대설입니다. 이미 완벽하게 겨울에 접어들어 눈이라도 많이 올 경우 출근길이 쉽지 않은 기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연말 분위기가 가장 고조되어 있고, 크리스마스가 채 3주도 남지 않은 시기이기도 하죠. 이 즈음에는 연말 망년회와 각종 모임도 피크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대설때 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곤 하였는데요. 식량 위기에 직면한 지금, 대설에 눈이 많이 와야겠습니다.

 

4. 동지(冬至)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는 겨울의 절정을 의미합니다. 입동, 소설, 대설에는 특별한 전통 없이 지나가는 한편, 이 날에는 귀신을 쫓는 팥죽을 먹어야 잔병이 들지 않고  건강하다는 속설이 있어 이날에는 여전히 죽집에 팥죽을 구매하고자 하는 줄이 늘어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팥을 따뜻하게 죽으로 쑤어먹으면 추운 겨울철에도 따뜻함을 느낄 수 있고 재료 자체의 효능인 설사, 해열, 산전산후통, 각종 진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5.소한(小寒)

22번째 절기인 동지를 지나면 한해가 마무리 되고, 23번째 절기인 소한 부터는 새로운 한 해가 시작합니다. 1월 5일~6일 경으로, 밤의 길이는 점차 짧아졌지만 겨울 중 가장 추운때라고 알려져있습니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죠. 새해를 맞아 다이어트, 금연 등 다양한 결심을 하게 되나 아직은 겨울이 마무리 되지 않아 흐지부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봄을 맞아야만 실질적인 새해라고 느끼는 탓일까요?

 

6.대한(大寒)

24절기의 마지막 절기인 대한에는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있고, 양력으로는 1월 20일 경에 해당합니다. 중국에서는 대한 즈음이 가장 춥다고 알려져있어, 클 대(大)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리상의 차이로 인해 소한 경이 가장 춥다고 합니다. 1월 말경에는 롱패딩 대신 코트로 패션을 뽐내는 젊은 사람들이 많아지고, 겨우내 하지 못했던 여행이나 이사, 집 수리등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24절기와 공휴일

국내에서는 24절기에 따라 팥죽을 먹거나 옷차림을 달리하는 정도로 취급하나 공휴일로 지정한 국가도 있습니다. 중화권에서는 봄의 청명(淸明)을 공휴일로 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봄의 춘분(春分), 가을의 추분(秋分)을 공휴일로 삼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