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푸드 및 식품

제철 두릅 효능과 부작용 알아본다면

by 사무노이 2023. 4. 9.
반응형

두릅은 한약재로 수룡아, 송목피 등으로 불릴 정도로 효능을 지니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4~5월경이 제철로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두릅 사진
직접 먹어본 제철 참 두릅

 

요리방법, 섭취방법

땅두룹은 봄을 맞아 돋아난 두릅의 새순을 잘라낸 것을 의미합니다. 삼한사온으로 요즘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계절에도 꼿꼿함을 유지하고 흔들리지 않나 독활, 독요초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남부지방에서는 3~4월에 채취할 수 있고 중부지방은 4~5월 새순이 올라오는 시기에 채취하여 먹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것은 참두릅으로 주로 전북 순창에서 70% 이상 생산된다고 합니다. 소금을 약간 넣은 소금물에 껍질채 삶은 뒤, 찬물에 헹궈 건진 다음 그냥 먹거나 초고추장 등에 찍어 먹으면 특유의 봄나물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일부 지방에서는 김치, 튀김, 샐러드, 국 등으로 먹기도 하고 쇠고기와 함께 꼬치에 꽂아 전으로 만들어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라고 합니다.

 

단, 나물의 특성상 쓴맛이 나기 마련인데 데칭 이후에 찬물에 담가서 쓴 맛을 조금 빼주는게 좋다고 하니 참고하십시오.

 

두릅의 효능

칼슘, 철분의 성분이 풍부하여 특히 뼈와 관절이 약한 노인들에게 좋습니다. 특히 제철을 맞은 두릅은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기 때문에 봄에 나른하고 맥아리 없으며 꾸벅꾸벅 졸리고 찌뿌둥한 분들이라면 꼭 챙겨드시기 바랍니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심장질환, 뇌질환에 영향을 주는 과다한 콜레스테롤 억제에도 도움을 준다고하며 혈당을 낮춰 당뇨가 있는 분들께도 좋다고 하네요. 이번 봄에는 꼭 챙겨드셔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두릅의 부작용

현재까지 두룹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느 식품이나 과다섭취할 경우 탈이 나기 마련이므로 적당히 섭취하시고, 특히 전이나 국물로 만들어먹을때 약주가 과하여 과음이 될 경우 두릅의 부작용이 아니라 술의 부작용이 될 수 있는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제품을 구매할 때는 줄기가 부드럽고 굵은 것, 만졌을때 통통하고 수분감과 탄력이 느껴지는 싱싱하고 좋은 제품을 을 구매해야 요리하였을때도 그 향기가 제대로 느껴지고 맛있다고 하니 참고하시어 건강한 봄날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